외화보험, 환율 변동 있다는 점 유념

 

 

외화보험은 환율 변동 위험성이 있다는 점을 유념하시고 가입하셔야 합니다.금리가 낮다보니 마땅히 투자할 곳이 없죠. 그래서 안전 자신이라는 달러를 이용해 가입할 수 있는 외화보험이 인기를 끌고 있다는데요. 

 

환테크 상품이라 생각하고 가입하면 손해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외화보험 가입할 때 주의할 점, 금융소비자연맹 정책개발팀 박나영 팀장과 알아봅니다. '외화보험'이 뭔지부터 쉽게 설명해주시죠.


외화보험은 보험에 가입해서 보험료를 낼 때, 대부분 우리나라 돈으로 내고 우리나라 돈으로 보험금을 받는 보험을 말합니다. 

외화 보험은 보험료는 물론 보험금 지급까지 모두 외국돈으로 받는 거죠. 

그러니까 달러 보험의 경우 보험료를 낼 때는 원화를 달러로 환전하게 되고 보험금을 받을 때도 달러로 받아 달러로 쓰실 수도 있고 필요시에 원화로 환전하여 쓰게 됩니다.


그럼 환율에 따라 매달 내는 보험료도 달라지는 건가요?


1.jpg

 

그렇습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매월 보험료를 300달러씩 낸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지난달에 환율이 달러당 천 원이었다면 30만 원을 보험료로 냈겠죠. 

그런데 이번 달 보험료 내는 날에 환율이 천백 원으로 100원이 올랐다면 33만 원을 내게 되고요. 

1,200원이 된다면 36만 원을 내게 되는 겁니다. 

가입하는 시점에는 환율이 낮은 것이 유리합니다.


그러면 보험 만기 때 받는 수령금도 환율에 따라 많이 차이 나겠어요?

[답변]

그렇습니다. 

예를 들어 사망보험금 30만 달러를 받기로 돼 있을 때, 환율이 천백 원이라면 3억 3천만 원을 받을 수 있지만 환율이 천 원으로 떨어졌다면 3억 원밖에 받지 못하겠죠. 

이 경우, 수령금이 3천만 원이나 차이가 나는 겁니다. 

보험금을 받아 원화로 쓰신다면 환율이 높은 것이 유리합니다.


이렇게 보니까 최악의 경우가 그려지는데요. 

보험료 낼 때 환율이 올라가고, 받을 때 환율이 내려가면, 손해가 만만치 않겠어요?


맞습니다, 최악의 경운데요. 

최고의 수익을 올리려면 보험료를 낼 때 환율이 낮고 보험금을 받을 때 환율이 높아야 하는데 그게 마음대로 되지 않습니다.

이게 얼마큼 손해가 나는지 보면 20년 간 매달 1,000달러를 내면 사망보험금 50만 달러가 나오는 달러 종신보험 상품으로 예를 들겠습니다. 

가입할 때 환율이 달러당 천백 원, 그러면 보험료가 110만 원입니다. 

중간에 환율이 천3백 원으로 오르면 보험료 부담액이 130만 원으로 무려 20만 원이라 오르죠. 

 

그러다가 보험금 수령 시점에 환율이 1,100원일 때 기대했던 보험금이 5억 5천만 원인데, 환율이 900원으로 내려가 있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하면 보험금의 원화 가치는 4억 5천만 원으로 무려 1억 원이나 줄어드는 셈입니다. 

 

환율은 고정적인 게 아니라 오르기도 하고 내리기도 하므로 수익을 낼 수도 있지만, 보험금을 받아 원화로 환전했을 때 오히려 투자원금보다 더 못 받을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외화보험은 환율 변동 위험성이 있다는 점을 유념하시고 가입하셔야 합니다.


금리도 우리나라 금리가 아니라 외국의 금리를 적용하나요? 

그러면 현재 미국의 경우 우리나라 금리보다 높잖아요? 

이익일 것 같은데.

[답변]

현재 보험사가 고객에게 받은 달러 보험료를 미국 장기 국채나 회사채로 굴리기 때문에 10년 만기 금리가 연 2.7% 안팎으로 원화 예금보다 높습니다. 

 

그러나 또 작년 말 4%에 육박했던 달러 보험 이율이 최근 2.7%까지 떨어지는 등 고금리 매력이 예전만큼 높지는 않습니다. 

외화보험은 이율 적용 방법에 따라 금리연동형과 확정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금리연동형은 매월 공시이율이 변하는 상품입니다.

 

금리연동형은 가입한 시기엔 금리가 3%였는데, 시간이 흘러 금리가 1%로 내려가면 1%로 적용받는 거죠. 

현재와 같이 미국이나 중국의 금리가 우리나라보다 높은 상황에서 외화보험 가입하는 게 이율이 높으니까 원화보험보다 유리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대부분 외화보험의 계약 기간이 5년에서 10년 이상으로 긴 편입니다. 

지금 상황만 봐도 금리가 어떻게 변할지는 확신할 수 없겠죠?

[이광수 기자 lks1599a@naver.com]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저작권자ⓒ뉴스8080 & news8080.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입력 : 2019.09.04 19:01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댓글0
이름
비밀번호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