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데이터 댐, 뭐라고 했나

●8080●.jpg

 

문재인 대통령은 18일 “우리가 하고자 하는 디지털 뉴딜은 앞으로 디지털 경제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 활용을 최대한 활성화하기 위한 이른바 ‘데이터 댐’을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한국판 뉴딜의 첫 번째 현장 행보로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데이터·AI(인공지능) 전문기업 더존비즈온의 강촌캠퍼스를 방문, 이 회사 AI 개발자들과 차담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디지털 뉴딜의 효과로 인공지능의 발전, 산업단지의 스마트화, 혁신산업과 비대면 서비스 창출 등을 거론하며 “우리 경제를 살리면서 앞으로 디지털 경제의 기반을 만들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한국이 선도형 경제로 나아갈 수 있는 기반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디지털 뉴딜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주안점을 둬야할 과제도 제시했다.문 대통령은 “공공과 민관에서 생성되는 많은 데이터들이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과감하게 개방되는 것이 필요하다”며 “개방의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침해되는 일이 없도록 철저하게 비식별 데이터로 만들어내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기존 산업에 종사하던 일자리를 없앨 수가 있으므로 기존 종사자들을 새롭게 만들어진 일자리로 옮겨드리는 사업들을 국가적으로 병행해 나가야 된다”며 “디지털 격차를 훨씬 더 심화시킬 수 있으므로 격차를 줄여서 포용적인 디지털경제를 만들어내는 것도 큰 과제”라고 밝혔다.


다음은 문 대통령 더존비즈온 강촌캠퍼스 현장 발언 전문.여러분, 반갑습니다. 앞에서 먼저 시연해 주신 분들도 고맙습니다. 우리 더존비즈온, 대기업은 아니고 아직은 중견기업이지만 데이터와 인공지능 전문기업으로서 대한민국 최고의 기업이라고 들었습니다. 아주 자랑스럽습니다.


지금 정부가 코로나 위기 극복, 그리고 또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응을 위해서 한국판 뉴딜을 추진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축이 디지털 뉴딜입니다. 더존비즈온이야말로 이 디지털 뉴딜을 선도하는 그런 기업입니다. 아마 여러분들께서 그런 디지털 뉴딜의 길을 앞서서 열어가는 그런 주역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주 기대가 큽니다.


왜 한국판 뉴딜이라고 부르느냐, 아시다시피 원뉴딜은 세계 대공황시대의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이 위기 극복을 위해서 채택했던 그런 정책입니다. 그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것 중 하나가 한 축은 노동자들의 권익을 신장하고 또 복지제도를 도입하면서 다른 또 한 축은 대규모 공공 토목사업을 통해서 많은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그런 정책을 펼쳤습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여기 후버댐이죠. 지금은 순위를 잘 모르겠는데 당시는 세계 최고의 댐입니다. 

 

우선 아주 대규모 댐을 건설해서 많은 물을 가두고 모읍니다. 그리고 그렇게 모아진 물을 수문을 통해서 내려보내면서 어떤 물은 발전에 사용되고, 어떤 물은 농업용수나 공업용수 같은 산업용수로 사용되고, 또 어떤 물은 식수로 사용되고, 그다음에 또 홍수나 가뭄을 조절하는 기능도 하기도 하고, 그래서 아주 다목적댐이라고 부릅니다.


우선은 굉장히 많은 예산을 투입해서 여러 해 동안 이런 공사를 하기 때문에 공사 과정에서 많은 일자리가 만들어지고, 또 완공되고 나면 이 물을 여러 가지로 활용하는 많은 관련 산업들이 생겨나게 되고, 거기에서 산업이 부흥하면서 일자리들이 생겨나게 됩니다.


나아가서는 이 상부에는 물을 가둔 아주 거대한 인공호수가 아주 아름답게 조성이 되게 되고, 또 물이 떨어지는 그 위용이 대단히 말하자면 볼만하기 때문에 아주 유명한 관광지가 되는 거죠. 그러면 관광산업. 숙박업체, 심지어는 카지노 같은 위락업체까지 이렇게 생기면서 공사하는 기간 동안 생긴 일자리 때문에 도시가 만들어지고 그다음에 나중에 더 관광산업까지 발전되면서 더 큰 도시가 만들어지고 이런 식의 선순환을 통해서 일자리를 만들고, 경제를 살리고자 했던 것입니다.


우리는 취지는 같습니다. 이제는 이런 대규모 토목사업을 통해서 할 수는 없죠. 우리가 하고자 하는 디지털 뉴딜은 앞으로 디지털 경제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 활용을 최대한 활성화하기 위한 이른바 ‘데이터 댐’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 데이터 댐에는 우리 공공과 민간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생성되는 데이터들이 모이게 되고,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가 원 데이터 자체로서는 활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그것을 표준화하고, 또 서로 결합해서 가공하고, 또 이것을 개인정보가 다 이렇게 거기에서 빠지게 만드는, 보호되게 만드는 비식별 정보로 만들어내고, 그렇게 하면 그것이 많이 이렇게 활용될수록 더 똑똑한 인공지능을 만들어내고, 그 인공지능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기존의 산업에 있어서도 기존의 산업단지, 그다음에 공장들을 스마트화하면서 혁신하고, 또 기존의 산업이 하지 못했던 여러 가지 혁신산업을 만들어내고, 그다음에 언택트 서비스 같은 혁신적인 서비스도 만들어내고, 그럼으로써 우리 경제를 살리면서 앞으로 디지털 경제의 기반을 만들어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한국이 선도형 경제로 나아갈 수 있는 그 기반이 되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것을 표준화하고, 이것을 또 가공 결합하고 하는 과정들은 전부 사람들의 작업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도 많은 일자리들이 생겨나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판 뉴딜 가운데서 디지털 뉴딜, 후버댐을 통해서 했던 미국의 정책과 유사하면서도 확연히 말하자면 이제 시대에 따라서 달라진 그런 모습을 우리가 볼 수가 있습니다.


이 디지털 뉴딜이 성공한다면 우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경제를 다른 나라들보다 앞서가서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여기 계신 분들이 그 주역이 되시리라고 믿습니다. 지금은 중견기업이지만 그때는 아마 세계적인 그런 대기업으로 우뚝 서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몇 가지 중요한 포인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선은 이런 공공과 민관에서 생성되는 많은 데이터들이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과감하게 개방되는 것이 이제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개방의 과정에서 아까 말씀드린 바와 같이 개인정보가 침해되는 일이 없도록 철저하게 비식별 데이터로 만들어내는 그 일들이 필요할 것입니다. 

 

그리고 이 디지털 경제가 우리 산업을 고도화하고 혁신시키면서 많은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내겠지만 그러나 기존에 그 산업에 종사하던 일자리는 없앨 수가 있습니다. 그러면 기존에 산업에 종사하던 그 분들을 새롭게 만들어진 일자리로 옮겨드리는 그것의 사업들을 국가적으로 이렇게 함께 병행해 나가야 됩니다.


또한 디지털 경제에서는 디지털에 쉽게 접근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분들 간의 디지털 격차, 이것이 지금 우리 사회의 격차보다 훨씬 더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런 격차를 줄여서 말하자면 포용적인 디지털경제를 만들어내는 것도 우리의 큰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는 제가 약간 이론적으로 말씀드린 것이고요. 실제로 기업 현장에서 여러분들이 느끼는 여러 가지 애로라든지 또 정부가 좀 더 관심을 가지면 좋겠다든지 하는 요망 사항들이 있다면 편하게 말씀들 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광수 기자 lks1599a@naver.com]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저작권자ⓒ뉴스8080 & news8080.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입력 : 2020.06.18 18:51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댓글0
이름
비밀번호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